조해숙

주요논문 2023 〈자료로 본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몇몇 문제에 대하여〉,《국문학연구》47 2017 〈반계 유형원의 시조 한역에 대하여〉,《한국실학연구》34 2016 〈가람 이병기의 시조 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한국시가문화연구》38 1999 〈시조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시적 자아의 관련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義城 金門의 時調 落穗 11首에 대하여〉,《관악어문연구》19 1991 〈농부가에 나타난 후기가사의 창작의식과 장르적 성격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요저서 […]
조현설

주요저서 2006 《우리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사 2003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문신의 역사》, 살림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공저)
최윤지

주요논문 2023 〈구어와 문어의 이분을 넘어 개별 사용역 자질에 기반하는 문법 연구 제안〉,《어문연구》51(1) 2022 〈범언어적 관점에서 본 정보구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말뭉치 기반 연구를 중심으로〉,《국어학》101 2021 〈양태접속부사 ‘하기는’의 의미〉,《한국어 의미학》73 2020 〈과연 격조사는 한국어의 초점 표지인가: ‘이/가’, ‘을/를’을 중심으로〉,《형태론》22(2) 2019 〈뉴스에 나타나는 독립적 명사구, ‘명사문’ 연구〉,《형태론》21(1) 〈상대높임 등급 혼용 현상에 대한 일고찰: 텔레비전 뉴스에 나타나는 […]
황선엽

주요논문 2009 〈명아주(藜)의 어휘사〉,《국어학》55 〈강아지풀(莠)의 어휘사〉,《한국어학》45 2008 〈<안민가> 해독을 위한 새로운 시도〉,《한국문화》42 2002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국어학》39
홍승진

주요논문 2021 〈만해의 『유심』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한국문학논총》87 〈이상화 시의 대종교 미학〉,《한국근대문학연구》22(1) 〈이원론적 문명을 넘는 생명사상의 공명-한용운의 타고르 이해에 관한 재고찰〉,《비교문학》84 〈한용운 시 「군말」 읽기-본래적 생명활동과 그 시적 표현〉,《민족문화논총》78 2020 〈서정 개념의 역사와 새로운 관점(1)-모방/비모방 모델의 실체론을 넘어서〉,《현대문학이론연구》82 2019 〈양차 세계대전과 임화 비평의 데칼코마니-평론집 『문학의 논리』를 중심으로〉,《비평문학》74 2018 〈1950년대 김종삼 시에서 장소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성〉,《한국시학연구》53 2017 〈김소월과 인내천(人乃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