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철원

주요논문 2023 〈대학 고전시가 교육의 선택과 배제〉,《한국고전연구》61 2022 〈신라 불교문학에서 기원과 회향의 문제〉,《국어문학》80 2021 〈온전하지 못한 몸과 마주보기〉,《국문학연구》43 2020 〈화엄불국과 신라, 여초 시가의 이상세계〉,《한국시가연구》51 2019 〈지역문화권의 유산으로서 <정읍사>와 정읍의 문화사적 위상〉,《국문학연구》40 주요저서 2023 《한국 불교시의 기원》, 에피스테메 2022 《고전시가 수업》, 지식의날개 《삼국유사 속 시공과 세상》, 지식과교양
손유경

주요논문 2022 〈노년의 시간과 ‘견딤’의 감각 – 박완서와 오정희를 중심으로〉,《한국현대문학회》68 2020 〈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한국여성문학학회》50 2017 〈’여류’의 교류 – 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 (2) 〉,《한국현대문학연구》51 〈일하는 사람의 ‘아플’ 권리 – 198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질병과 섹슈얼리티〉,《상허학보》50 2015 〈현장과 육체 – «창작과비평»의 민중지향석 분석〉,《현대문학의 연구》56 주요저서 2021 《삼투하는 문장들》, 소명출판 2016 《슬픈 사회주의자》, 소명출판 2012 《프로문학의 […]
이종묵

주요논문 2023 〈관악산의 인문경관과 자하 신위〉,《人文論叢 》80(3) 2022 〈황화수창의 공간〉,《장서각》47 2011 〈한시의 보편적 가치와 중국 문인과의 시문 교류〉,《한국시가연구》30 2009 〈17-18세기 中國에 전해진 朝鮮의 漢詩〉,《한국문화》45 2008 〈조선 후기 놀이문화와 한시사의 한 국면〉,《애산학보》34 주요저서 2016 《경강의 별서1-3》, 경인문화사 《돌아누우면 생각이 바뀐다》, 종이와 나무 2012 《養花小錄-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아카넷 2009 《우리 한시를 읽다》, 돌베개 2006 《조선의 문화공간1-4》, 휴머니스트
이진호

주요논문 2023 〈한국어 비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진단학보》140 2022 〈파열음의 함의 관계는 얼마나 유효한가?〉,《인문논총》79 2020 〈한국어 파열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어문연구》48(2) 주요저서 2024 《한국어 종성 체계의 언어 유형론》, 서울대출판문화원 2022 Phonological Typology of Plosives, SNU PRESS 2020 《한국어학개론》, 집문당(공저) 2017 《국어 음운론 용어 사전》, 역락 2015 《한국어 문법 총론》, 집문당(공저) 2012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
장소원

주요논문 2007 〈한국현대시를 통해 본 상호텍스트성〉,《텍스트언어학》23 2004 〈현대국어와 역사성-문체〉,《국어학회》45 1991 Coréen parlé et coréen écrit, Thèse de doctorat en Linguistique, l’Université Paris Descartes 1986 〈문법 기술에 있어서의 문어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요저서 2007 《방송화법》, 커뮤니케이션북스(공저) 2002 《말의 세상 세상의 말》, 월인(공저) 2001 《바른국어생활과 문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공저)
장윤희

주요논문 2021 〈〉,《어문연구》49(1) 2005 〈현대국어 문법 요소와 통시적 정보〉,《국어학》45 주요저서 2011 《몽산법어언해》, 채륜 2002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전영철

주요논문 2022 〈한국어 양상 범주의 형식의미론적 접근에 대하여〉,《人文論叢》79(2) 2019 〈한국어 정보구조표지 ‘은/는’의 의미-대조 의미를 중심으로〉,《언어학》85 2007 〈한국어 복수 표현의 의미론: ‘들’의 통합적 해석〉,《언어학》49 2005 〈한국어의 소위 특정성 표지들에 대하여〉,《언어》30(4) 2003 〈한국어 총칭표현들의 의미론적 분석〉,《언어학》37 주요저서 2023 《한국어의 의미와 의미 이론》, 박이정 2013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정길수

주요논문 2022 〈전쟁, 영웅, 이념 – 한국 고전소설에서 본 전쟁〉,《고전문학연구》62 2021 〈한국한문소설의 ‘돈’에 대한 인식〉,《고소설연구》52 2020 〈한국한문소설의 여성 욕망〉,《한국한문학연구》80 2019 〈한국한문소설로 보는 한반도 주변세계 인식〉,《한국한문학연구》76 2013 〈17세기 동아시아 소설의 여성 서사 비교〉,《고전문학연구》43 주요저서 2023 《선가귀감》, 돌베개(역서) 2021 《창선감의록》, 돌베개(역서) 2016 《17세기 한국소설사》, 알렙 2010 《구운몽 다시 읽기》, 돌베개 2005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 돌베개
정병설

주요저서 2023 《나의 문학답사일지》, 문학동네 2019 《한국고전문학수업》,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죽음을 넘어서 – 순교자 이순이의 옥중편지》, 민음사 2012 《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2010 《조선의 음담패설》, 예옥 《구운몽도》, 문학동네 2007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1998 《완월회맹연 연구》, 서울대 국문학 박사논문총서 8 그 외 […]
정승철

주요논문 2020 〈윤동주와 함북방언〉,《한국문화》89 2018 〈′빠가사리′ 魚名考〉,《國語學論叢-宋喆儀先生退任紀念》 2010 〈방언 접촉과 언어 변화〉,《崔明玉 先生 停年 退任 紀念 國語學論叢》 주요저서 2022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태학사 2018 《방언의 발견》, 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