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진

주요논문 2023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 《사이間SAI》35 2021 〈‘데프(Deaf)의 영화’를 찾아서―<만종>(신상옥, 1970)과 그 주변〉, 《상허학보》63 2020 〈할리우드에서 온 ‘왜색영화’―<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검열〉,《상허학보》59 2019 〈예술적 동정과 제국적 관용, 그 사이의 비평―<나그네[旅路]>(1937) 이후의 조선영화와 일본영화계 -〉,《한국학연구》53 2018 〈가난은 어떻게 견딜 만한 것이 되는가―영화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와 빈곤 재현의 문화 정치학〉.《한국극예술연구》60 […]

김대중

주요논문 2018 〈애민사상의 정신분석-성호(星湖) 이익(李瀷)을 중심으로〉,《韓國古典硏究》41 2016 〈성호(星湖)와 다산(茶山)의 육체 경제학〉,《한국실학연구》32 주요저서 2018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 돌베개

김성규

주요논문 2004 〈’워>오’의 통시적 고찰〉,《국제어문》30 〈계림유사와 15세기 국어의 성조비교〉,《어문논집》49 1999 〈빠른 발화에서 음절수 줄이기〉,《애산학보》23 1998 〈중세국어 2음절 용언어간의 성조유형〉,《국어학》32 〈중세국어의 쌍형어에 대한 연구〉,《전농어문연구》10 1994 〈중세국어의 성조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비자동적 교체의 공시적 기술〉,《관악어문연구》13 1987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중

주요논문 1995 1930년대 후반기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김기림의 주지주의 시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요저서 2022 《김기림 연구》, 월인 2007 《김수영과 하이데거》, 민음사 1996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태학사  

김종욱

주요논문 2022 〈설정식 문학에 나타난 주권론의 기원〉,《관악어문연구》47 〈가정소설의 근대적 변용 : 이인직의 <치악산>〉,《한국현대문학연구》66 2020 〈반석의 풍경 1910~1945〉,《관악어문연구》45 2018 〈캉유웨이(康有爲)의 맥락에서 이인직 다시 읽기〉,《현대문학의 연구》65 〈이광수, 신민회 그리고 량치차오〉,《춘원문학연구》12 2017 〈신민설(新民說)과 천민설(天民說)의 길항 : 이해조의 <자유종>〉,《관악어문연구》42 2015 〈해방기 국민국가 수립과 염상섭 소설의 정치성 : 『효풍』을 중심으로〉,《외국문학연구》60 주요저서 2022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역락 2021 《만세전 : 염상섭 […]

김현

주요논문 2021 〈양순음 뒤 ‘ㅡ’의 음성학: 원순모음화는 동화인가〉,《국어학》98 2019 〈비음화의 발생: 모음 끝 전이와 비강의 선개방〉,《국어학》92 2017 〈국어 활음의 전이 양상〉,《국어학》82 2015 〈중세 국어 ‘ㅕ’의 음운론〉,《어문연구》168 2013 〈장애음 뒤 경음화에 대한 통시론적 고찰〉,《국어교육》141 2011 〈경음화의 발생: 비어두 무성무기음의 음소적 인식〉,《국어학》62 2009 〈음소의 변별적 자질과 음성 실현〉,《한중인문학연구》26   주요저서 2006 《활용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태학사

나수호

주요논문 2013    Reimagining Traditio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in Modern Korean Film, Acta Koreana 16(2),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주요저서 2009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학지사

문숙영

주요논문 2009 〈현대국어 ‘-느-‘의 범주와 형용사와의 결합제약〉,《한국어학》45 2008 〈시제 어미 및 시제 상당 표현의 사용과 관련한 몇 문제〉,《한국어 의미학》27 2007 〈’-고 있-‘의 기능부담량 차이에 관한 시론〉,《국어학》50 2004 〈제주 방언의 현재시제 형태소에 대하여〉,《형태론》6(2) 주요저서 2009 《한국어의 시제 범주》, 태학사

박진호

주요논문 2009 〈동시성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면서’의 비대칭적 용법〉,《한국언어문화》38 2007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국어학》50 2006 〈진본화엄경 권제20의 점토 해독〉,《구결연구》16 〈중세국어에서 형용사와 결합하는 ‘-어 잇-‘의 상적 의미〉,《구결연구》17 주요저서 2002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 사전》, 두산동아(공저)

방민호

주요논문 2004 〈일제 말기 이태준의 일본 사소설 전유 양상에 대한 고찰〉,《》 2003 〈문명비평의 길〉,《》 〈손창섭의 자전적 소설 연구〉,《국어교육》112 〈이광수의 자전적 문학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語文學論叢》22 2000 〈채만식 문학에 나타난 식민지적 현실 대응 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역사와 문학의 시적 완성이라는 문제〉,《》 1997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주요저서 2007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서정시학 2005 《행인의 독법》, 예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