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교과목 목록

1. 석사과정

개화기에서 1970년대까지의 작가들 중, 문제적인 작가를 선정하여 그 작가의 이념세계와 그 작가의 소설작품의 특징을 깊이있게 파악하도록 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select, controversial Korean author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e 1970’s. The class will attempt a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se authors’ ideolog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novels.

현대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들을 선정하여 그 전기적 사실에서부터 문학세계에 이르는 총체적인 문제들을 연구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지니는 성과 및 한계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시인론을 직접 작성하고 토의를 거쳐 한층 진전된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ourse, modern, Korean,representative poets are selected and the elevant issues concerning their literary works, including biographical information, will be studied.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compose and discuss theories about these poets by carefully examining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es, as well as identifying future research topics.

선행 교과목을 통해 학습한 현대한국비평문학의 성과와 한계를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깊이있는 비평문을 작성하고 토의한다. 이와 함께 한국현대비평을 문학사적인 측면과 비평가론적인 측면에서 심도있게 탐구하고 문학일반론과 우리 문학의 특수성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논문과 토의를 통해 전문적인 연구 시각을 지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explore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achievements as well as limitations of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that had been previously studied, the class will engage in deep analysis of specific works and discuss its findings. Additionally, the students will study research papers that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theories of literature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현대한국시에 나타난 특징적인 면모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선정하는 대상에 대한 검토와 연구방법론 적용에 대한 토의를 거쳐 리포트를 통하여 연구의 성과를 보고토록 한다. 주요내용은 개항기의 상황과 한국시, 20년대 신문화 수용 및 문학이론의 도입과 우리 전통 서정시의 재발견, 30년대 급격히 확장된 문학공간 속에서의 다양한 시적 탐색과 실험들, 해방과 전쟁을 겪으며 성장한 성찰적 시 등을 당대의 현실과 시문학의 자율성을 함께 살펴보면서 연구한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

 

The focus of this course will be on gaining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ajor poets of the modern era of Korean poetry. Subjects of study will be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poets from the 1920s, the 1930s, and directly after the Korean War. Concentra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poetry, students will discuss appropriate methods of critical analysis as well as research on the selected subjects which will, then, be presented in a report.

현대한국소설의 특징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발표논문을 작성하고 토의하는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연구방법론 적용에 대한 토의를 거쳐 리포트를 통하여 연구의 성과를 보고토록 한다. 개화기에서 1960년대까지의 주요 작가와 작품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연구방법론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과목이다. 이 시기의 작가나 소설을 본질적으로 해명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방법도 있으며 특정한 경향을 띠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 소설사적 시각이나 연구방법론을 취하여 새로운 해석이나 평가를 꾀하는 방법도 있다.

 

This course will allow students to examine important authors and work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60s. Their studies will include delving into specific research me- thodologies, such as looking at basic concepts that are needed to interpret the poets or works from these periods or even attempting a new interpretative method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novels, students will discuss appropriate procedures of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selected subjects. These results will then be reported in class.

2. 석박사통합

이 강좌는 문학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거나 주목할 만하나 그렇지 못했던 작가를 발굴하여 작가를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파악하고 한 작가와 그의 문학 작품의 독특한 특질을 밝히며 나아가 작가 연구의 방법론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conduct their own research dealing in-depth with authors deemed important in literary history or uncovering worthwhile authors who have so far been ignored.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work from a variety of view-points and perspectives and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studying authors.

이 강좌는 한국현대문학 작품들을 그 시대와의 연관 아래 분석하고 검토하는 훈련을 통해 학생들이 문학 작품과 관련된 맥락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다른 시대의 문제를 자신의 시대와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시각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This course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course offers to students the chances to re-experience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and to rethink our contemporary literature in comparison with that of another age.

이 강좌는 문학텍스트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여러 가지 문학 이론의 흐름을 개관하고 이를 토대로 각 문학 작품을 분석하여 한국현대문학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현대문학과 문학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이론 전반에 대한 안목을 넓힐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문학을 학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examine various methods in literary criticism and weigh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inally apply them to actual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Students will gain a broader view of the literary theories through treatmen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 현대문학을 비교문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점이 놓인다. 구체적인 영향관계나 영향의 원천을 찾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학작품들에 퍼져 있는 상호 비교 대상이 되는 주제나 모티프, 사상과 형식 등에 대해 탐색하고 그 의미를 연구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사적 교양과 철학 사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병행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연구발표를 진행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comparative literary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a specific influential source, the class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ubjects, motifs, ideologies and forms that are the mutual subjects of comparison in various literary works. Students will gain knowledge of the cultural history and an understanding of philosophy, and will present research on selected subjects.

본 강좌는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의 한국 현대 극문학 텍스트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 및 영상예술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 극문학이 어떠한 재현형식을 취하며 문학적 모색을 해 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한국 현대 극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극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course is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Korean modern drama of various genres. To this end, we will train students to have a critical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forms of representation in Korean modern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value of each Korean modern drama text, and to gain a new perspective of the modern drama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3. 박사과정

개화기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 현대 시사를 연대별로 구분, 각 시대의 시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박사 과정 강의이기 때문에 학생들로 하여금 각 시대별로 과제를 부과, 발표케 하고 토론한다. 한국현대시단의 쟁점들을 분석, 검토하게 한다. 특히 문학사와 문학, 시와 다른 양식의 상관관계를 이해, 파악케 하고 한국현대시단에 등장 활약한 여러 유파와 시인들의 특성, 문제점을 이해 파악케 한다.

 

This course is a doctoral course. It studie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50s.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poetry will be divided into distinct periods and studied in depth. In addition, various issues, including schools of thoughts and specific poets, concerning current Korean poetry will be analyzed and examined.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be the active moving force that pushes the class along by preparing presentations for each period and leading the class discussion. Through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come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works as well as its interrelations with other genres.

19세기 말에서 20세기 말에 이르기까지의 한국현대소설의 전개과정, 정신사적 방향, 형식적 특질 등을 새롭게 검토해 보면서 한국현대소설사의 새로운 골격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ind a new framework for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while reexamining its development process, ideological history, and formal characteristics. The period that is covered in this class will b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nd of the 20th century.

현대한국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비평활동을 시대순으로 고찰하고 특징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문학 양식론과 현대문학의 독특한 장르론을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를 위하여 문학원론과 실제비평 사이의 거리를 가늠하고 그 속에서 독자적인 비평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구발표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This course arranges the literary criticis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period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is class will also tackle the challenge to reconcile traditional literary stylistic theory and modern genre theor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ents will prepare research presentations that provide evidence for the possibility of original critical theory within the gap between literary principles and actual criticism.

한국의 현대시에 대한 시학적인 연구가 중심이 된다. 근대 이후의 시인이나 비평가들이 개진한 본격적인 시론이나 시평론들도 대상이 된다. 이 과목은 문학사적인 측면보다는 작품 자체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대상이 된다. 따라서 비평이론 자체의 체계적인 이해 뿐 아니라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병행하여 균형잡힌 연구 시각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focus of this course is modern Korean poetry. We will study the works themselves as well as the critical theory set forth by the poets and critics of the modern era. The students will concentrate o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work rather than on its historical context. Accordingly, our goal is not only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critical theory, but at the same time to analyze specific works,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balanced research.

현대한국시의 이론적 체계를 검토하여 특이한 성향성을 연구하고, 한국 시의 이론적 접근방식과 그 성과를 점검하며, 한국 시가 지닌 독특한 양식적 발전과정을 검토하여 그 연구 결과를 세미나 형식으로 발표 토의하는 강좌이다.

 

This course will examine critical theories of modern Korean poetry and its unique characteristics. A variety of theoretical approaches to Korean poetry and their results, as well as the unique stylistic development of Korean poetry will be developed. Finally, the findings of such research will be presented in a manner of a formal seminar.

현대한국소설의 이론적 체계를 검토하여 한국소설의 특이한 문제틀을 구성하고, 한국소설의 이론적 접근방식과 그 성과를 점검하며, 한국현대소설이 지닌 구조적 특성을 통한 독특한 양식적 발전과정을 검토하며 세미나 형식으로 발표 토의하는 강좌이다.

 

This course will study the critical theory of modern Korean novels. We will examine both the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Korean novels as well as their, the novels’, stylistic development. Finally,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 in a form of a seminar.

개화기부터 1960년대에 걸쳐 현대문학의 전개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에는 전기적 연구방법, 심리학적 연구방법, 문학사회학적 연구방법 등의 전통적 연구방법을 비롯하여 최근의 신비평과 구조주의적 접근에 이르는 다양한 연구 방법론이 활용된다. 이를 통해 작가와 작품, 혹은 작가와 시대의 관련 양상과 그 특질을 해명한다.

 

This course will concentrate the author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e 1960s. We will use traditional methods, such as the biographical method, the psychological method, and the socio-literary method, as well as approaching it from the angle of new criticism and the structural approach. Through this course,we will elucidate either the interrelations of author and work, or the author and period.

일반적으로 문학 연구의 최종단계는 문학사 서술에 있다. 따라서 문학사에 대한 이해는 문학 연구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관점에서 문학사 서술방법, 문학사와 역사철학의 상관관계, 문학사와 사회사의 연관성 등을 탐구한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

 

Generally, the final stage in the research of a literary work is how it is situated in the larger literary tradition. Accordingly, then,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importa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course studies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interrelation of the literary history and history of philosophy, as well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