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교과목 목록

1. 석사과정

우리말은 유형론적으로 어근 또는 어간에 접사가 붙어 다양한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교착어에 속한다. 따라서 국어를 올바로 이해하고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우리말의 구조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국어형태론 과목을 수강생들은 형태소의 정의 및 분류, 단어의 형성과 굴절, 품사 체계 설정 및 품사 분류 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Typologically, the Korean language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where affixes are attached to the word root or stem to express various semantic functions. To properly understand and study the Korean languag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n syntax is necessary. Korean Morphology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study such problems as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morphemes, the formation and inflection of word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as well as the division of the parts of speech.

국어 연구에서 이론과 자료는 어느 하나도 소홀히 여길 수 없는 문제이다. 연구자료가 되는 것이 정확하고 광범하고 포괄적인 것이 아닐 때, 연구결과가 좋은 것이 될 수 없으리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본 강의에서는 이론 적용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근의 문법이론을 중심으로 이론에 대한 이해력, 적응력, 응용력을 함양케 함을 목적으로 한다.

One problematic issue with Korean language study is that no single theory or material may be neglected. It is self-evident that, when materials are not accurate, extensive, or comprehensive, good research cannot be achieved.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actically apply theories centering on recent grammatical theory, so that errors will not occur when theories are applied.

이 과목은 학사과정의 ‘한국어 음운론’을 바탕으로 하여, 그보다는 심화된 내용이면서도 대학원 과정의 음운론 관련 고급 교과목들을 위해 기반이 되는 내용들을 익히고 활용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음운론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탄탄히 다지고, 한국어 음운론의 중요 쟁점과 연구사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강의는 각 주별로 한국어 음운론의 중요 주제들을 선정한 후 수강생들의 발표와 교수의 강의를 통해 진행된다.

 

This course, on the basis of the undergraduate course of the same title, deals with more advanced contents, and also prepares students for the high-level graduate courses related to Korean phonology. For this purpose, it will firm up students’ knowledge of the basic concepts of phonology and help them understand important issues of Korean phonology and the research history. Students are required to present their own understanding of one of the selected topics. After the students’ presentations, the professor will comment on and complement them.

이 교과목은 국어의 음운이 통시적으로 어떤 체계적인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자체계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음운사의 시대구분이 필요하며 이것이 국어사의 시대구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단편적인 음운들의 변화에만 치중했던 과거 연구들을 비판하면서 체계와 관련하여 음운들이 변화를 거쳐왔는지에 초점을 맞춰 강의는 진행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inquire into what aspects of systematic change Korean phonology exhibits diachronically. In order to do this, we will first discuss changes in writing systems. Also, we will delve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periodic divisions found in the history of phonology and Korean phonology. Finally, we will discuss the shortcomings of past researches, which placed great importance only on the changes in fragmentary phonemes, and focus whether or not phonemes changed in relation to the system.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현대국어는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와 같은 여러 단계를 거쳐 변화해 온 결과이며, 그것은 또 미래 국어의 바탕이 될 재료가 된다. 이 교과목에서는 국어의 역사 가운데서 문법사의 측면네 초점을 맞추어 형태, 통사적인 특징들을 통시적으로 살피고, 또 그러한 역사적 언어 지식을 통해 현대국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Language changes unceasingly with time. Contemporary Korean has passed through various stages, such as ancient Korean, medieval Korean, and modern Korean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future Korean. This course focuses on the history of grammar within the Korean language, examining diachronically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contemporary Korean through the knowledge of its historical languages.

이 교과목에서는 국어의미론 분야의 국내외 박사 학위 논문들을 집중적으로 검토, 분석한다. 그리하여 국어의 어휘 의미, 문장 의미, 담화 의미 등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강생들이 국어의 의미 현상과 관련한 연구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In this course, we will do a concentrated examinati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doctoral theses in the field of Korean semantics. This will allow students to gain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from recent researches in Korean sentences,as well as lexicological and discourse meanings. With this foundation students will acquire the ability to write a research thesis concerning Korean semantics.

2. 석박사통합

한국어학 연구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하는 방법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처리하는 자연언어처리의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실습한다. 텍스트 처리를 위해 유용한 유닉스 명령어와 통계 패키지 R 등의 도구를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으로 텍스트 처리를 위해 스스로 코드를 짤 수 있도록 하며,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기법을 자연언어처리에 활용하는 방법도 탐구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ways of using computers for linguistic research and topic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cusing on Korean textual data. It introduces various Unix command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R. It also teaches the programming language Python, so that students can produce their own codes for their research purposes. In addition, it deals with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cluding deep learning, focusing on use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이 과목은 한국어학 연구의 이론적 성과를 토대로 하여 그 이론적 지식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응용 분야로는 언어 습득, 심리언어학, 인지언어학, 음성 합성 및 인식, 계량언어학, 언어 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로서도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이론적인 한국어학에 실재적 뒷받침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and exploring various fields that apply theoretical knowledge of language and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linguistics. These applied areas include language acquisition, psycholinguistics, cognitive linguistics,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quantitative linguistics, language policy and so on. These are not only meaningful in themselves, but also provide a re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Korean linguistics.

이 교과목은 음운론 연구의 기초 학문인 음성학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이것이 국어음운론 연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음성학의 종류 가운데 조음음성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2)국제음성기호를 정확히 습득하여 여러 음성들을 표기할 수 있는 능력을 쌓고 3)국어의 음성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이와 음운의 관계는 어떤지에 대해 살펴보는 형식으로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theories of phonetics, the foundational science in the research of phonology, and what influence it has had on Korean phonological research. The course will progress as follows: First, among the various kinds of phonetics the articulatory phonetics will be examined in detail, then the students will accurately learn the international phonetic(IPA) symbols and gain the ability to transcribe various sounds, and finally the class will examine the ingredients that make up Korean phonetics and what relationship it has to phonology.

이 교과목은 구체적인 방언들을 통하여 그 방언의 체계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여기서는 지리방언학과 사회방언학으로 나누어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지리방언학에서는 한 지역방언을 통해 그 방언의 음운, 문법, 어휘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도 있고 또 방언간의 비교를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 국어방언의 특성상 주로 음운론에 한정된다. 사회방언학에서는 여러 사회적인 요인들에 의한 국어의 쓰임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연습을 한다. 국어학과 현대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

 

This course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thodology by which systematic features of selected dialects may be understood. The class will be divided into geographical and social dialectology. In geographical dialectology, one may study the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from a particular region or compare different dialects altogether. In the former case,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lect are generally limited to phonology. In social dialectology, one will look at the variety of use, which is dependent on various social factors, and practice its systematic description.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의 언어 능력은 소리와 형태, 의미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문법에 맞는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내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실제로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사회언어학은 바로 인간의 언어를 그것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지어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사회언어학의 이론적 바탕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이라는 한 언어 공동체 속에서 우리말이 화자들의 계층, 세대, 나이, 성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사용되는지, 이러한 사회적 요인들이 국어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으며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경험적 자료를 통해 살필 수 있도록 한다.

 

Language proficiency means making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with the knowledge of sound, form, and meaning. However, just because someone can mak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does not mean that they can communicate well. Sociocultural knowledge of the context in which language is used is necessary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Sociolinguistics is the field of research that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anguage and its sociocultural context.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come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sociolinguistics. They will also examine, through experiential materials, how the Korean language, within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is connected to such social factors as class, generation, age, and speaker’s sex, as well as how these social factors are reflected and structured within the language.

현대 이전의 자료를 언어 연구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대상 자료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간행되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 대상 문헌이 원간본인지, 중간본인지, 아니면 필사본인지의 여부도 판단해야 한다. 즉 대상 자료에 대한 서지학적인 이해가 문헌의 내용에 대한 연구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을 통해 국어학 연구와 관련된 문헌들을 서지학적인 관점에서 다룰 수 있는 지식을 익히고, 국어학 연구 자료들에 대한 서지학적인 이해의 수준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When using antiquated materials for language study, one must first grasp when, where, and by whom the target materials were published.One must also judge whether the target literature is a first publication, a re-publication, or a transcribed copy. That is, a bibliographic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material must precede any study of that material.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how to evaluate materials related to the study of Korean linguistics from the bibliographical viewpoint and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linguistic research materials.

국어화용론은 우리말의 실제적인 쓰임에서 현실적인 맥락과 관련하여 국어 문장의 발화가 가지는 의미의 여러 가지 양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통사론이나 국어의미론이 나타난 요소의 구조와 의미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달리, 국어화용론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화자의 의도와 같은 것이 어떻게 전달되고 청자가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것과 같은 실제적인 언어 사용의 국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국어화용론에서는 우리말과 관련된 화시, 대화 함축, 전제, 화행, 대화구조, 정보구조 등의 문제를 다룬다.

 

Korean Pragmatics is the study of various aspects of utterance meaning in real contexts. It is a field more concerned with the speaker’s intentions and listener’s comprehension in actual utterance situations rather than the structures or meanings related to the overt structure or lexical elements. Korean Pragmatics deals with the interesting problems such as deixis, conversational implicature, presupposition, speech acts, dialogue structure, and information structure.

이 교과목은 국어에 대한 연구가 어떤 것들이 있었으며 그 경향의 변화 방향은 어떤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국어학사의 시대구분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자들을 택하여 그 연구 성과가 어떠했는지 알아본다. 강의는 학생들이 한 학자씩 맡아 발표를 하고 이를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inquire into what sorts of study have been done in Korean linguistics and what the major trends have been. We will look into the periodic divisions of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n survey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of selected scholars from each period. Students will be assigned one scholar on which to give a presentation and discuss in class.

이 교과목은 사전 편찬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기존의 사전들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더 나은 사전 편찬 방법을 찾아 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는 표제어의 등재, 배열의 방법, 정의, 문법정보 등으로 나누어 학생별로 발표하도록 하고 이를 서론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theories on compiling dictionaries. They will examine current dictionaries, point out existing problems, and devising a method of compiling a better dictionary. The class will divide the subject matter into such sections as the recording of guidewords and definitions, methods of arrangement, and grammatical information. Each student will give a presentation and lead the class into discussion.

텍스트과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문학작품을 비롯한 다양한 텍스트를 읽고, 인상적이거나 직관적인 수준의 분석을 넘어서 실증적인 분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이 교과목의 목표이다.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론적으로 학습한 텍스트의 구성과 확장의 원리가 실제 문학 작품이나 기타 실용텍스트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이 과정을 통해 수강자는 과학적인 문예비평의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read various works of Korean literature a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analyze texts rather than use mere impressional or intuitive analysis techniques.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fic texts, we will examine the application of textual formation and expansion principles to actual literary work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ill gain the ability to engage in analytical literary criticism.

본 강좌는 한국어의 어휘항목들(단어, 연어, 관용표현 등)이 이루는 어휘구조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단어의 내부구조와 단어형성, 단어의 차용, 어휘의미와 그 변화, 단어간 관계, 어휘 체계, 어휘 분류, 어휘의 계량, 단어의 다양한 변종들, 사전편찬 등을 다룬다. 어휘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어휘력 증진,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 한국의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방식에 대한 측면적 이해 등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유의한다.

 

This course discusses the lexical structure of Korean. Topics to be dealt with include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word formation, borrowing of words, word meaning and its change, lexical relations, classification of lexical items, lexical statistics, and lexicography.

이 교과목은 국어자료를 대상으로 국어음운론을 연구하는 과정을 각 단계별로 실제 연습을 통해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는 세미나식으로 운영되며,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과 정리, 3) 음소목록 설정과 음운체계 작성 4) 기저형의 설정 5) 규칙의 설정 6) 음운과정의 설명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대상 언어에 대한 공시음운론적 연구와 통시음운론적 연구를 다 취급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searching Korean phonology through use of authentic language samples and texts. The class will consist of gathering,organizing as well as interperting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a phonetic inventory and prepare a phonological system. It will also create an underlying form, set up rules, and explain the phonological process. The target language will be dealt with synchronic as well as diachronic phonological methods.

한국이나 미국에서 최근 한국어나 일본어 및 영어를 자료로 하여 쓰여진 박사학위 논문 가운데서 특히 주목되는 논문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변화의 양상과 이론의 실제 자료에 대한 적용 양상 및 해석의 특이성이라는 측면에서 최근의 동향을 이해하고 스스로 비판함으로써 앞으로의 논문 작성에 참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examine the Korean and U.S. doctoral theses that focus on the Korean, Japanese, or English language. Students will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current trends from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ory, the application of actual theoretical material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tion. This should be of great assistance in one’s thesis preparation.

이 교과목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축적되어 온 한국어학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고, 이 연구 성과들을 국내의 연구 성과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통합적인 한국어학의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전 세계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지역별로 그리고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별로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의 미래를 위하여, 국내의 연구 성과들과 해외의 연구 성과들과 어떻게 상호 발전적으로 교류할 수 있을지를 모색할 것이다.

 

The course investigates the results of Korean linguistics from overseas and compares them with the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trying to find the way for a unified study on Korean linguistics. First of all, those results through the world are classifi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regions such as Japan, USA or Europe and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such a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or semantics. Furthermore, we are going to survey what to do with both those results and the domestic results for the future of Korean linguistics.

문자가 처음 쓰일 때는 음성 언어의 불완전한 면을 보완하기 위한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문자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문자는 단순히 음성 언어의 보조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그 자체로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체계로까지 발전되어 왔다. 인류의 역사에서 문자가 발명된 것은 그렇게 오래 되지 않으며, 또 음성 언어의 수에 비해 문자의 수는 극히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인류 문자의 역사에서 우리의 한글, 즉 훈민정음이 차지하는 위치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이 과목은 우리의 문자인 훈민정음을 대상으로 창제 과정, 제자 원리, 운용 방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나아가 한글을 중심으로 한 국어 표기법의 변천 과정, 문자 생활의 여러 문제점들을 함께 검토할 것이다.

 

When written characters were first created, their primary function was to supplement the spoken language. However, as people grew accustomed to using written language, it became more than a supplement to the spoken language. It developed into a system of independent functions. It has not been that long since written characters have been invented and there are fewer written languages than there are spoken languages. This course closely examines the creation ofthe Korean hangeul writing system, that is, Hunminjeongeum, such as the general principles that created the characters and its methods of use. Also studied ar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writing system along with various issues concering its use.

3. 박사과정

이 과목은 국어를 대상으로 의미의 의미, 단어 간의 의미 관계, 단어장과 성분분석, 의미의 변화 등의 어휘 의미뿐만 아니라 문장의 의미, 담화 의미 등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소개하여 수강생들이 국어의 의미 현상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나아가 스스로 실제 언어 속에서 중요한 의미 현상들을 찾아내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is course will introduce the results of researches conducted in lexical meaning,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words, word fields, constituent analysis, and changes in meaning in Korean language. It will further investigate meaning of the sentences and discourses, helping student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topic as well as to identify and explain important semantic phenomena found in the actual language.

이 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자료들(여러 문헌자료가 될 수도 있고 국어의 구어 자료도 될 수가 있다)을 분석하게 함으로써 실제의 음운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강의는 학생별로 하나의 자료를 분석하고 그 정리된 결과를 발표하게 하고 이에 대해 학생 서로 간에 비판적 토론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This course fosters the ability to conduct phonological research by having students analyze actual written as well as oral materials. In the class, each student will analyze a particular material and present the results to the class, leading their peers into a critical discussion.

이 과목은 국어의 사적 변화양상을 심도있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을 통한 국어의 변화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표기법의 변천 양상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음운, 문법, 어휘별로 나누어 그 역사를 파악한다. 따라서 강의는 각 분야별로 학생들이 분담하여 시대구분(국어사의 시대구분을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할 수도 있다)과 함께 국어사를 정리, 발표하도록 하고 이를 서로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Firstly, the aspects of changes in spelling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how they reflect changes in written Korean. Next, we will divide the language into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studying the history of each area. Accordingly, students will give presentations and lea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y will be encouraged to not only point ou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way Korean linguistic history has been divided into periods but present new schemes of division.

현대한국어를 대상으로 형태, 통사 차원에서 특징적인 사실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적이다. 대개 한두 주제를 특정해, 연구사와 연구경향, 관련 제 쟁점, 언어유형적인 관점에서의 특징 등, 남아있는 문제 등을 면밀히 살펴볼 것이다. 문법적, 의미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제약과 선호 또한 탐구된다.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grammatical issues in Modern Korean. One or two topics will be chosen to be explored in depth, and various aspects of the topic(s) in question will be dealt with, including research trends, related issues, typological characteristics, remaining questions, etc. Various combinatorial constraints and/or preferences at the syntactic and semantic levels will also be explored.

이 교과목은 국어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국어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론을 익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지금까지 주로 국어학이 어떤 주제를 어떤 방법으로 다루어 왔는지를 간단히 살핀 다음, 국어학 연구에서 어떤 문제들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것인지, 또 어떤 하위 분야의 연구가 더 깊이 있게 연구되어야 하는지와 같은 연구 대상 또는 주제, 각각의 문제들은 어떠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다루어야 하는지의 방법론, 기타 국어학에서 자료와 이론의 상호 관계 등을 깊이 있게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강생들은 자신이 전공하려는 하위 분야에 적합한 연구 방법을 찾아보도록 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inguistics learn the basic methodologies necessary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First, we will briefly examine what subjects Korean linguistics has addressed and to what results. Second, we will examine in-depth such research subjects as problems in the study of Korean linguistics, as well as which sub-fields require further research. Lastly, we will determine which methodologies are appropriate for each problem, and examine the interrelation of materials and theories. These steps of studies will subsequently allow students to find suitable research methods for their chosen sub-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