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과목 목록
1. 석박사통합
한국 문학 자료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대상 자료의 간행 연대, 간행지, 간행자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즉 서지학의 개념과 체계, 문헌 자료 실상에 대한 파악, 대상 문헌에 대한 서지학적인 이해가 그 문헌에 수록된 자료 연구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이 교과목을 통해 한국 문학 연구와 관련된 문헌들을 서지학적인 관점에서 다룰 수 있는 지식을 익히고, 한국 문학 연구 자료들에 대한 서지학적인 이해의 수준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study Korean literary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target material’s year of publication, publication medium, and publisher. That is, a grasp of the concepts and systems of bibliography and of the reality of written literature, and a bibli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iterature are the first step in studying materials recorded in that literatur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gain the necessary knowledge to deal with literature related to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from a bibliographic perspective, and they will be able to broaden their bibliographic understanding of materials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한국한문학의 전반적인 실상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여 비평론, 문체론, 주제론 등 다양한 시각에서 한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시도한다. 한문학이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한문학의 다양한 갈래들과 그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두루 망라하여 각 갈래의 특징을 파악하고 각 갈래에 적절한 작품의 연구 방법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실제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시도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Sino-Korean prose literature and its related researches. We will cover all of the various genres of Sino-Korean prose, from the period when Sino-Korean was introduc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works corresponding to each genre. Thus, the students will com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We will also establish research methods suitable for each genre, and the students will attempt to analyze and interpret works according to those method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y will be called upon to give an interpretation of Sino-Korean prose based on such aspects as criticism, style, and subject.
문학 연구는 문학 작품에 관련된 정보를 체계화하는 문헌학, 작품의 의미를 규명하는 해석학, 각 작품들을 유형화하여 공통된 미학적 특성을 밝히는 장르론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점검하고 그 문제점들을 진단하여 이론적 정합성과 실제적 적합성을 갖춘 문학 연구 방법론을 수립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Literary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philology, which systematizes information concerning literary works,analytics, which closely examines the meaning of works, and the theory of genre, which divides works into types and uncovers the common aesthetic characteristics.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examine the research methodologies that have appeared in each field, diagnose the problems with each methodology, and establish a realistic research methodology free of theoretical contradictions.
한국 고전소설의 전반적인 실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소설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이와 함께 개별 작품론과 갈래론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각각에 대한 나름의 입론을 마련해 보도록 한다. 각 갈래의 문예미학적 특징, 다른 갈래와의 영향 관계, 내적 발전의 원리 등을 발견하고 소설사적 안목을 기르는 것이 주요한 연구 과제가 된다.
We will analyze and interpret classical novel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Students will also critically examine existing research on individual works and the genre as a whole, developing their own arguments on these subjects. The primary goals of this course are to discover the literary-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he influence the different genres have on each other, and the principles of internal development, gaining the ability to see works in terms of the history of novels.
이 교과목은 고전시가 분야에서 다루어야 함에도 교과목이 마땅하지 않아 다루지 못하거나 특별히 중요한 연구 대상이나 방법론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 스스로가 연구를 진행하여 나름의 입론을 마련하도록 한 교과목이다. 고전시가의 주제론, 양식론, 갈래론, 배경론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을 때 개설하므로 개설할 때마다 그 부제가 달라진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llow students to engage in independent study concerning particularly important research subjects or 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classical poetry. Though it centers on the field of classical poetry, the themes covered in this course will vary according to the needed area of research at that time.
건국서사시, 무가, 판소리, 설화, 민요, 전통극 등 구비문학의 전반적인 실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이와 더불어 갈래의 특질을 규명한 기존의 연구 방법을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진단하여 작품 및 갈래의 실상에 부합하는 연구 방법을 수립하여 그것을 실제 작품 및 갈래 연구에 적용해 봄으로써 독자적으로 구비시가에 대한 연구를 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We will analyze and interpret work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ral literature, including national foundation epics, shaman songs, pansori, tales, folk songs, and traditional drama. In addition, we will examine existing research methodologies that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diagnose the problems, establishing a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works and the genre. Students will then apply this methodology to the study of actual works and the genre itself, gaining the ability to study Korean oral poetry on their own.
한국 고전문학과 세계문학의 장르, 주제, 작가 등을 비교 연구하여 세계문학사 속에서 한국 고전문학의 위상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 고전문학을 세계화 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을 연구한다.
This subject focuses on compar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genre, subject, and the author. This investigation will reestablish the posi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ontext of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Futhermore, We study the various methods of globalizing Korean literature.
문학 연구는 기본적으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 교과목은 실제 연구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가 문학 작품을 연구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마련된 작품 연구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작품의 실상에 부합하는 방법론과 이론을 마련하는 것이 주요한 연구 과제가 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research literary works, interpret their meaning, and find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ccordingly, we will critically examine the existing ways of researching literary works and establish a methodology and theory that is appropriate to the materials.
각 갈래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고대에서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생성되고 성장하고 소멸한 다양한 갈래를 역사적인 시각을 중심에 두고 고찰한다. 한국문학작품의 각각의 존재 양상이 어떠한 사적 전개 맥락과 원리 위에 놓여져 있는지 살펴본다. 다른 문학사와의 비교 작업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한국문학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해명될 것이다. 이와 함께 시대 구분, 갈래 체계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학설을 점검함으로써 한국문학사를 통찰하는 스스로의 관점을 마련하고, 문학사를 연구하는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ach genre, we will examine from an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various genres that were created, grew, and died out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We will determine the historical context and principles on which the various ontological aspects of Korean literary works are founded. We will also conduct comparisons with other literary histories, shedding light on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Korean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through a study existing research and theories on periodic division and genre systems students will develop their own insights into Korean literary history and acquire their own methods for studying literary history.
문학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작가를 심도 있게 연구하거나, 주목할 만하나 그렇지 못했던 작가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등 스스로가 연구를 진행하여 결론에 이르도록 한 교과목이다. 고전문학 작품 가운데는 작가가 밝혀져 있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작품의 작가를 밝히는 일도 연구의 과제가 된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파악하고 한 작가와 그의 문학 작품의 독특한 특질을 밝히며 나아가 작가 연구의 방법론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개설 학기마다 부제를 붙여 그 성격을 명시한다.
Students in this course will conduct their own research and arrive at their own conclusions, dealing in-depth with authors deemed important in literary history or uncovering worthwhile authors who have so far been ignored. There are many classical literary works whose author’s are unknown, and discovering the authors of these works is a possible research task.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work from a variety of viewpoints and perspectives, to shed light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 single author and that author’s works, and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studying authors. Subtitles to the course title each semester will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course for that semester.
작품론이나 갈래별 연구에서 포괄할 수 없는 주제를 대상으로, 한국 고전산문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접근을 유도함으로써 스스로 연구를 진행하고 입론을 마련하도록 한다. 고전산문의 개념, 발생, 갈래론, 작가론 등 다양한 주제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설 학기마다 부제를 붙여 이 교과목의 성격을 명시하게 된다.
Students will be trained in the various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throughout Korean classical prose, enabling them to conduct their own research and establish their own arguments. We may study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the concepts, origin, genre theory, or author theory of classical prose. Accordingly, subtitles to the course title for each semester will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course for that semester.
비평은 문학연구의 주요한 한 영역이다. 비평은 본질적으로 인간, 삶, 세계, 문학에 대한 근본적이면서도 비판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비평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교육과 연구의 핵심을 차지한다. 한국고전문학에는 풍부하고 의미 있는 비평 자료들이 존재한다. 그 속에는 다양한 사유가 내장되어 있다. 이 교과목에서는 이를 학문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 연구의 인식론적 및 윤리적 기초를 다짐과 동시에 연구자의 사유 지평을 확장한다.
Criticism is an essential area in the study of literature. In essence, criticism makes possible a fundament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humanity, life, the world, and literature. Thus, criticism occupies a central place in university education on and study of literatur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as abundant and significant critical materials, and these materials contain a wide variety of thought. Through academic examination of these materials, students will establish epistemological and ethical foundations for the study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broaden their critical horizons as researchers.
한국고전문학은 예술과 불가분의 관련을 맺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고전문학을 깊이 있게 다층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그것이 예술과 맺고 있는 관련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교과목은 한국고전문학과 예술의 상관 관계를 공부함으로써 양자 모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한편, 문학연구의 인식론적 지평을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inextricably intertwined with art. For this reason, a deep, multilayered look in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quires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art.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study the interre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art, thus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both aspects and broadening their epistemological horizons when it comes to the study of literature.
‘한국문학주제탐구’는 사랑, 우정, 부부, 가족, 질병, 노화, 죽음, 자연, 생태, 여행, 정치, 이념, 권력, 예술 등 한국문학사의 중요한 주제 중에서, 사전조사를 통해 수강예정자들의 관심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하나의 부제를 설정하고 2군교과목으로 운영한다.(예 ‘한국문학의 사랑과 우정’, ‘한국문학과 가족’, ‘한국문학의 질병과 노화’, ‘한국문학과 이데올로기’, ‘한국문학과 자연’, ‘한국문학과 여행’등) 그리고 수강생의 세부전공(구비문학, 고전시가, 고전산문, 한문학, 현대시, 현대소설, 드라마 등)에 따른 연구 성과를 공유하여 해당 주제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
“Thematic Inquiries in Korean Literature”is being run as a group Ⅱ graduate course, with a subtitle selected from important themes in Korean literary history―such as love, friendship, marriage, family, disease, aging, death, nature, ecology, travel, politics, ideology, power, and art―and encompassing the interests of students who will be taking the course (to be determined by a preliminary survey). Examples would be: “Love and Friendship in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and Family,” “Disease and Aging in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and Ideology,” “Korean Literature and Nature,” “Korean Literature and Travel,” etc. Students will share research results from their specific fields (oral literature, classical poetry, classical prose, classical Chinese, modern poetry, modern novels, drama, etc.) and receive guidance on conducting integrated research on the theme.
구비문학, 시가, 소설, 한국 한문학 등을 망라하여 한국 고전문학의 유산을 되짚어보고, 기존 연구의 성과와 쟁점을 살펴 독자적 연구의 방향을 설계할 수 있다. 한국 고전문학의 존재 양상 및 그 역사적 전승과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한편,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던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을 분석함으로써 그 성과의 체계화 및 이론화 방안까지 함께 모색할 수 있다.
We will review the heritage of Classcal Korean Literature, such as oral literature, poetry, novels, and Sino-Korean works, and examine the existing research on these works to design methods to conduct research. Meanwhile we can examine the ontological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determine how these have been handed down and adapted throughout history, attemp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lasscal Korean Literature from a number of viewpoints, and study the methods and theories of categor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it.
서사학은 서사 또는 이야기의 본질을 밝히는 학문 분야이다. 신화, 설화, 서사시, 소설, 드라마, 영화 등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며, ‘스토리텔링’과도 연관되어 있다. 서사는 본성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의 근본적 관심 사항이기에, 이를 탐색하는 학문은 인간학의 근원과 맞닿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과목은 유럽 미국 등에서 형성된 서사학의 여러 이론을 학습하면서, 한국고전서사, 특히 소설을 중심으로 그것이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구체적으로 살필 것이다. 여기에는 신화 등 이전의 서사물은 물론 영화 등 근대 이후의 서사물도 함께 조명될 것인데, 이를 통해 서사의 변화 발전까지 깊이 학습하게 할 것이다.
Narratology is the academic field that sheds light on the essence of narratives or stories. It is the foundation of myths, tales, epics, novels, drama, and film, and it is related to storytelling as well. Humanity has such a fundamental interest in narrative that it could be called an essential part of our nature, so one could say that the study of narrative gets to the root of what it means to study humanity.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study various narratological theories developed in the U.S., Europe, and elsewhere, examining in detail how these theories have been transformed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particularly novels. The course will also look at earlier forms of narrative, such as myths, and modern forms of narrative, such as film, allowing for a deep study of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narrative.
대학원이란 학생이 학자로서 자신 있게 세계의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과정이다. 물론 학문적인 기량을 닦고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 그 과정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갈고 닦은 기량을 발휘하거나 그 지식을 다른 학자와 공유하는 데에 지장이 있다면 무용지물이 되어버리기 십상이다. 따라서 연구 논지를 명확하게 하고 그 논지를 명료하고 호소력 있게 전달하는 기술을 연습함으로써 학생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해외학회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영어로 발표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것을 이 과목의 목표로 삼는다.
The purpose of graduate school is to prepare students to stand confidently as scholars on the world stage. Improving one’s academic abilities and accumulating knowledge is, of course, the core of that process. But if one is not properly able to demonstrate those abilities or share that knowledge with others, they could easily be rendered useless.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train students to be able to more effectively present their research results in English by practicing the skills required to make clear points and then convey those points articulately and eloquently.
신라와 고려 문학의 전반적인 실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 해석함으로써 기존 연구 방법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나아가 작품의 실상에 부합하는 연구 방법을 수립하는 동시에 그것을 실제 작품 연구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이 시기의 시가와 산문을 독자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This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independent study in Silla and Goryeo literature.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methods that analyze and interpret these works and establish a research method that corresponds to the actual works. The students will then employ their designed method to conduct research on poetry and prose in these ages.
고전문학 연구를 위해서는 개별 자료를 읽고 판단하는 능력을 반드시 먼저 갖추어야 한다. 이 강좌에서는 구비문학, 시가, 소설, 한국 한문학 등의 각 분야를 포괄한 고전 자료를 선정하여 강독하고, 대상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분석과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원전을 직접 읽는 소양을 갖춤과 동시에 한국문학 자료 전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
The ability to comprehend individual text is vital to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e will read text selected equally from the different branches of oral literature, poetry, novels, and Sino-Korean works, and we will attempt prac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se text. In this way students will gain the ability to comprehend original text and at the same time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r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