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교과목 목록

이 과목은 한국어 연구, 즉 국어학은 어떠한 학문이며, 구체적으로 무엇을 연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국어가 어떠한 특징을 지닌 언어인지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국어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언어학과의 관계에서 정립되는 국어학의 위치, 국어학의 하위 분야들, 연구대상 및 범위, 국어의 역사적인 변화 양상, 현대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 등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더욱 깊이 있는 국어연구를 위한 기초를 다지도록 한다.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approach linguistics through an inquiry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llowing them to garner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cience that Korean linguistics represents and what exactly is studied in this field.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Korean linguistics in relation to other languages, its historical changes, as well as the grammatical and lexical features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will be examined.

이 교과목은 한국문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해 충실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 문학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문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갈래 체계와 역사적 전개 과정, 주제적, 미학적 특성, 전반적인 작품의 실상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본격적인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This course will offer comprehensive explanations on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t will provide the students a basic level of Korean literary knowledge that is needed to study and understand its works. Students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ncept, scope, genre systems, histor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mes and aesthetics found in its literature. Such an examination will strengthen and sharpen the student’s research skills for more advanced studies in this field.

이 교과목은 문학이 사회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작품의 배경으로 삼기도 한다는 문학 일반의 원칙을 한국 문학 작품들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이 문학과 실제 삶의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는 시, 소설, 평론 등으로 짜여진 한국 문학을 한국인의 삶의 현장인 한국사회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본격적인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기초를 다지게 된다.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literature and life. Through Korean works, students will confirm the general principle that literature reflects society. They will examine Korean poetry, novels, and criticism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rough this examination, students will strengthen their foundation for further, more thorough research into Korean literature.

이 과목은 음운론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것이 한국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먼저 음소 설정 방법을 통해 한국어의 음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음소들은 어떤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나아가 음운규칙을 설정하고 어떤 음운과정이 있는지 살핀다. 이러한 공시음운론 외에 음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통시음운론도 여기서 다루어진다.


This course will survey the general theory of phonology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language. First, the cours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of phonology Methods of establishing a phoneme will be analyzed to understand Korean phonemes and their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course will cover synchroic anddiachronic phonology as well a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honemes.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문학 작품으로의 이해와 해석의 방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어법, 운율, 표현 방법 등에 유의하여 고전 시가 작품을 강독하면서 작품을 읽고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a general understanding of classical poetic works from ancient gayo t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Students will master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works. They will survey phraseology, meter, and methods of expression, while learning how to properly read, analyze and interpret works of classical poetry.

개화기 시기부터 최근의 희곡작품을 일차자료로 삼아 작품을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한국 현대 희곡의 흐름을 조망함으로써 희곡 연구의 기초를 닦는다.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평가와 그 작품의 공연과 관련된 사회사적 맥락을 아울러 살펴봄으로써 공연예술로서의 연극에 대한 미학적 이해를 아울러 시도한다.


This course teaches the students the fundamental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Korean dramatic works while helping them develop basic research skills. Dramatic piece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present will be surveyed as the class’ primary source.

고대에서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의 존재 양상과 생성⋅성장⋅소멸한 다양한 갈래의 존재 양상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사의 전개의 양상과 원리를 찾아본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한국고전문학의 시대 구분, 갈래 체계, 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의 방법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학설을 점검하고, 둘째, 시대에 따른 작품의 실상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This course will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of distinct periods in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he two primary components of this course will include critical analysis of the texts and an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was written.

개화기부터 1960년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 각 시기마다 문학사적으로 중심이 되는 비평, 소설, 시, 희곡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대한국문학사의 전개과정을 다룬다. 개화기의 신소설과 시가 문학에서 비롯, 이광수⋅최남선⋅김동인⋅염상섭 등에 의한 초기 신문학과 1920년대의 프로 문학, 1930년대의 사실주의와 모더니즘 문학, 해방 공간의 문학과 전후 문학 등을 거치는 한국현대문학사의 시각 속에서 작품들의 구체적인 위상을 파악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focusing on the criticisms, novels, poems, and dramas of each period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until the 1960s. Students will come to comprehend the particular significance of works in relation to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which covers the new novels and poetry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new literature founded by Yi Gwang-su, Choi Nam-sun, Kim Dong-in, Yeom Sang-seop, and others, the proletarian literature of the 1920s, the realist and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the literature of liberation, and post-war literature.

말과 문자로 이루어진 산문문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수집과 분류, 감상과 이해, 해석과 분석에 이르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가운데 작품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은 그 기초가 되는 것으로, 고전산문이 갖는 독특한 독법을 체득하여 작품의 생생한 미감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강독한 작품들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을 시도하게 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literary prose, one must be able to comprehend it in the process of gathering and classification,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literary works. Among these, the ability to interpret works of prose forms the foundation.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master the unique methods of reading classical prose and appreciate the aesthetic of these works. They will also analyze the works read in class.

이 과목은 한국어가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변화해온 모습을 개관하는 데 목적을 둔다. 먼저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어 역사의 시대구분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시대구분이 이루어지면 표기법, 음운, 문법, 어휘체계 등으로 나누어 시대별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국어의 변화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urse provides a survey of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has chang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First, we will inquire into the genealogy and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cuss methods of classifying the language by period. Later,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for spelling,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from each period. By comparing these characteristics, students will be able to grasp how the Korean language has changed.

한국어 문법론은 한국어 음운론과 함께 우리말의 구조를 다루는 한 분야이다. 음운론이 자음, 모음, 음절, 액센트 등 언어의 소리 쪽을 다룬다면 문법론은 형태소, 단어, 구, 문장 등 그 자체가 어떤 의미를 동반하고 있는 단위, 곧 문법 단위들을 다룬다. 이 과목은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우리말의 다양한 문법 현상과 그 바탕에 깔려 있는 규칙들을 발견하고 이해해 나가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class will use grammar to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 Phonemes – consonants, vowels, syllables, accents, and other sounds of the language – will be studied in terms of how they relate to the language’s morphemes, vocabulary, phrases and sentences.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grammar.

고전소설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소설의 미학적 특징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Presupposing a foundation in classical novels,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esthetics as well as the expressions of the emotions and thoughts found in the Korean classic novels. This will enable the students to master the method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se works. We will first examine the results of research concerning works and genres that have taken place up until now. Then we will practice method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specific works or genres examining its specific, aesthetic cha- racteristics.

한국 현대시의 효과적인 이해를 위해서 시의 개별 요소에 대한 이론들을 일별하고 이론과 실제 창작 사이의 거리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들이 한국시에 어떻게 적용․이해될 수 있는가를 설명, 이해시키고자 한다. 한국 현대시의 기능적 이해를 위한 이론을 익히고, 실제 작품 분석, 검토를 한다. 중요 내용은 시의 언어적 속성, 비유론, 상징론, 심상론, 운율, 형태론, 역설, 아이러니 등이다.

In order to effectively understand modern Korean poetry, this class will take a detailed look at the key elements of the subject in question and attempt to apply them to Korean poems. This will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poem’s underlying meanings. We will also familiarize ourselves with basic theories as well as examine actual works and their important attributes for a functional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poetry. Included in this study are symbolism, figures of speech, imagery, meter, form, emphasis, irony, and other poetic elements.

개화기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 근대 시사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인을 선정하여 각 시인들의 연구사를 검토하고, 그 시인들에 부합되는 방법론을 채택하여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데까지 강의를 한다.

This course will study several poets who represent the time period stretching from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to the 1950’s. In addition, we will examine the history of researches that have been performed on themand select a methodology through which the students themselves can research and compare their works with.

소설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일반이론을 소개하고 이론 자체의 계보적 특징을 습득한다. 그리하여 한국현대소설에 대한 엄정한 평가를 가능케 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내용과 형식의 연관을 통해 총체적으로 의미체를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태도를 기른다. 현대한국소설의 구조와 그 이론적 체계를 살펴보고, 현대소설의 전개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연구, 강독을 하는 강좌로서 현대한국소설이 지닌 특성과 서술기법, 구성의 조직, 작가의 작품 분석 방법론을 중심대상으로 한다.

This course develops the ability to do a structural analysis of a novel. This ability will enabl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and critique novels. In class we will read various novel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theory behind the modern Korean novel as a genre. While we will focu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novel, its descriptive techniques and construction, we will also review the history of the Korean novel’s development as a whole and evaluate problems discovered in the process.

작가론의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한국 현대 작가의 전반적 특징을 파악한 후 특정 작가의 작품세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한국 작가를 대상으로 작가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작품 분석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연구성과를 세미나 형식으로 검토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한국소설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With the study of writers as a background,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authors in general as well as specific authors. The main subject of the cours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uthorial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while focusing on modern Korean authors. It will be a seminar-style course seeking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한국한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문학의 미학적 특징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Presupposing a general understanding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s aesthetics. Furthermore, we will study the uniquely Korean thoughts and emotions depicted in this literature and master apt method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will first examine the research concerning these works. Secondly, we will practice method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specific works or genres while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specified genre.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시가의 미학적 특질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This course presupposes a foundation in classical poetry. Its goal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oetry and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that are expressed in it. Various classical forms including gay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will be studied. Also examined are the research as well as practice method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The class will also emphasize the studying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works and genres.

본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국어 관련 정보(또는 자료)를 적절히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정보 관련 기술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학문분야의 연구 내용과 방법론도 달라지고 있는바,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개설된 과목이 본 과목이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말뭉치의 구축, 말뭉치 가공, 가공된 말뭉치로부터의 언어정보 추출, 추출된 언어정보의 통계적 분석, 언어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및 유지 등에 관한 기초적인 방법론을 익히게 될 것이며, 한국어문학 나아가서는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This subject aims at enhancing students’ ability to extract and process information or data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cademic practices are undergoing considerable changes. There- fore students are required to keep up with these changes. Topics to be dealt with include the compilation and processing of corpus information, extraction of linguistic information from corpus data, statistical analysis of extracted information, conversion of linguistic information to database, and management of the linguistic database.

이 과목은 한국어 방언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방법의 습득에 그 목적을 둔다. 우선 방언학과 관련한 여러 이론들을 소개한다. 주로 지리방언을 위주로 살펴보며 구체적으로 방언자료집을 통해 각 방언간의 음운⋅문법⋅어휘적 특징을 알아본다. 그리고 방언 차이에 의해 방언구획 작업을 하고 나아가 방언지도를 작성해 본다. 물론 이런 방언비교 뿐만 아니라 어느 한 방언을 택하여 공시론적인 연구를 할 수도 있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expose students to the method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n Korean dialectology. Students will be introduced to various theories on dialectology. In particular, the course will concentrate on geographical dialectology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alect’s phonemes, grammar, and vocabulary. Students will learn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dialects and create dialectological diagrams to illustrate such differences.

이 과목은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어떤 것들이 있었으며 그 경향의 변화 방향은 어떤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어학사의 시대구분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자들을 택하여 그 연구 성과가 어떠했는지 알아본다. 강의는 학생들이 한 학자씩 맡아 발표를 하고 이를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evaluate existing research and to assess the current trends in Korean language research. In this course Korean linguistic history will be divided into different eras and notable linguists from each era will be selected and their research evaluated. Each student will present an analysis of one linguist and lead the class discussion.

언어를 음성과 의미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는 점에서 의미는 언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의미론은 이러한 말의 의미를 다루는 분야이다. 이 과목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의미의 의미, 단어 간의 의미 관계, 단어장과 성분분석, 의미의 변화 등을 살피고, 나아가 문장의 의미, 담화 의미 등에까지 관심을 넓힘으로써 한국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Language is generally viewed as the union of sound and meaning. Semantics is the branch of linguistics concerned with meaning This course will evaluate the definition of mea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s of words, and how they change Furthermore, it will evaluate the meaning of sentences and conversations to facilitate a thoroug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설화, 민요, 전통극 등 구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구비문학의 문학적 특징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This course capacitates students to use research techniq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literature. Additionally, students will learn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hilosophies of Koreans depicted in various genres such as folklore, folk music and traditional plays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es and aesthetics of selected works.

개화기에서 1970년대까지 발표된 소설 작품들 가운데서 문제작을 선정하여 올바로 읽고, 분석하고, 평가하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o properly read, analyze, and evaluate problematic novels published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up until the 1970’s.

문학비평의 유형들과 개별 방법론을 검토하고 한국현대문학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실제 연구논문을 작성하면서 확인한다. 이와 함께 개화기 이후 진행된 실제비평을 통해 이론의 정합성과 적용가능성 및 한계 등을 검증해 본다. 문학작품에 대한 가치 평가의 행위인 비평작업을 통해 문학작품의 의미와 존재의의를 확인하는 비평문학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한국문학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궁극의 목적으로 한다.

This course presupposes the student to have a foundation in various schools of literary criticism from after the Enlighten- ment Period. The class will explore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One of the primary tasks of literary criticism is to establish standards by which we evaluate a piece of literature. This course closely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world literary criticism and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especially on the critical research in 20th century Korean literature.

개화기의 여러 시가부터 최근의 시까지 1차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시 분석의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발표 당시의 원문표기를 살린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을 하며 동시에 시 분석을 위한 이론들을 재검토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the basic ability to analyze poetry, using text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present.

본 강좌는 한국어의 어휘항목들(단어, 연어, 관용표현 등)이 이루는 어휘구조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단어의 내부구조와 단어형성, 단어의 차용, 어휘의미와 그 변화, 단어간 관계, 어휘 체계, 어휘 분류, 어휘의 계량, 단어의 다양한 변종들, 사전편찬 등을 다룬다. 어휘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어휘력 증진,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 한국의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방식에 대한 측면적 이해 등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유의한다.

This course discusses the lexical structure of Korean. Topics to be dealt with include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word formation, borrowing of words, word meaning and its change, lexical relations, classification of lexical items, lexical statistics, and lexicography.

본 강좌는 한국 현대 영상예술의 흐름을 조망하고 학생들이 영상예술 작품을 분석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영상예술 연구의 기초를 닦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 학생들은 한국 영화 및 텔레비전 드라마 작품을 새로운 각도에서 해석함으로써 영상예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평가와 그 작품의 상영과 관련된 사회사적 맥락을 아울러 살펴봄으로써 개별 작품과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This course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Korean film and television drama. The Students will com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film and television drama by analyzing individual texts from a new perspective. Emphasis will be given to a balanced understanding of both individual texts and socio-cultural contexts.

한국어 자료를 표기, 문자, 음운, 문법, 어휘의 면에서 자세히 읽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의 실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또 한국어 자료에 대한 서지, 문헌학적 접근을 통해 역사적 자료를 다루는 방법과 절차를 익히도록 한다.

The course will broaden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by reading and analyzing materials with respect to spelling, letter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With philological and bibliographical approaches, students will learn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dealing with historical texts in Korean.

대중음악, 드라마, 영화 등 한국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한류와 세계화 시대에 한국문학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 한국 문학이 어떻게 표현 및 해석,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이런 문맥에서 이 강의는 고전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문학 전반에 있어서 영어권에서 영어로 번역된 작품과 그 작품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앞으로 한국 문학을 세계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각에서 본 한국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nd the Korean wave, as elements of Korean culture such as K-pop, television dramas, and film spread throughout the world, Korean literature is also gaining in popularity abroad.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Korean literature has been expressed, interpreted, and understood outside Korea. In this context, this class will study works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how they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covering everything from classic to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is way, students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from a new perspective and thus be better equipped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future.

한국고전소설은 대부분 필사본으로 전한다. 따라서 감상하고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작품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 교과목은 고전소설 독법의 기초 능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한문 판각본과 필사본, 한글 판각본과 필사본 등 몇 가지 유형의 작품들을 골고루 선정하여 강독하며, 강독한 작품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과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Most Korean classic novels have been handed down as written manuscripts. Therefore, in order to appreciate, understand, and study these works, we first need the ability to read them.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students’ basic ability to read classical novels. We will attempt detailed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readings, which will include selected woodblock prints and handwritten manuscripts, written in either hanmu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or Hangul (vernacular Korean).

‘K-문학’이란 최근 세계에서 관심 대상으로 떠오르는 한국문학을 말한다. 2000년대 들어 한국문학은 세계의 관심 대상이 되었다. 작가 한강이 2016년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작가 윤고은이 대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소설뿐만 아니라 김소연, 김혜순 등 시인들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영화가 세계의 각광을 받는 데는 시나리오의 힘이 아주 컸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에 ‘K-문학’의 작가와 작품을 통하여 학생들이 동시대 한국문학을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K-Literature’ refers to Korean literature that has recently emerged as a subject of interest in the world. In the 2000s, Korean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 of global interest. Writer Han Kang won the International Man Booker Prize in 2016, and writer Yoon Go-eun also won the CWA Dagger Prize in 2021. Not only novels, but also poets such as Kim So-yeon and Kim Hye-soon are receiving world attention.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power of the screenplay was very great for Korean films to be in the limelight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rough the writers and works of ‘K-Literature’, students can broadly underst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한국학의 범주와 성격은 세계 속 한국의 위상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애초에 지역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던 한국학에서 가장 늦게 주목받은 분야의 하나가 바로 한국문학이다. 국내외 주요 대학에서 한국학이 중요한 분과 학문으로 점차 자리를 잡고 학제적 연구와 교육을 선도하게 된 가운데, 한국문학에 관한 전통적 연구와 교육은 과감한 자기 갱신을 요구받는 추세다. 본 교과목은 ‘한국’의 경계와 ‘문학’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거나 도전받는 현실에 발맞추어 한국문학을 한국학의 한 분야로 이해하는 방법과 그 의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한국문학의 성취와 가능성을 국내외 한국학의 학술적ㆍ문화적 약진이라는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려는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함양하는 동시에 ‘한국’이라는 국경과 ‘문학’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시도되는 다양한 학문적ㆍ문화적 실천들에 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춤으로써, 향후 한국학이라는 넓은 맥락에서 문학을 다루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ategories and nature of Korean studies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in response to Korea’s global status. Korean literature has historically received less attention compared to other areas of Korean studies due to its regional focus. However, as Korean studies has become an increasingly prominent discipline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abroad, the traditional approach to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is in need of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The boundaries of ‘Korea’ and the category of ‘literature’ are constantly being expanded or challenged. This course aim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as a field of Korean studies and its significance by critically examining the achievements and possibilitie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the academic and cultural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t home and abroad. This course will equip students with both specialized knowledge of Korean literature and a broader understanding of interdisciplinary and cross-cultural practices, empowering them to meet the contemporary demands with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학사과정 전공 교과목 이수 표준 형태

1학기
2학기
비고
1학년
100.100 한국어연구입문(필)

100.103 한국문학과 한국사회

100.100 한국어연구입문(필)

100.102 한국문학연구입문

전공탐색교과목
2학년
101.215 한국고전시가강독

101.303A 한국어문법론

101.309A 한국현대시론

101.218 한국현대희곡론(*)

101.223 한국고전산문강독

101.311A 한국현대소설론

101.428 한국영상문학론(*)

(*)은 매년 개설되지는 않음
3학년
101.221 한국고전문학사(필)

101.301A 한국어의 역사(필)

101.312 한국현대작가론

101.315 한국한문학론

101.426 한국어어휘론

M1232.001500 한국고전소설강독

101.212A 한국어음운론

101.222 한국현대문학사(필)

101.301A 한국어의 역사(필)

101.308 한국고전소설론

101.310 한국현대시인론

101.316 한국고전시가론

101.401A 한국어방언학

4학년
101.317 한국어 정보의 전산처리(*)

101.402A 한국어학사

101.405 한국구비문학론

101.410 한국현대소설강독(*)

101.419 한국현대문학비평(*)

101.424 한국현대시강독(*)

101.404A 한국어의미론

101.477 한국어학자료읽기(*)

M1232.000200 세계 속의 한국문학

M1232.002000 K문학의 이해(*)

M1232.002100 한국학으로서의 한국문학(*)

(*)은 매년 개설되지는 않음

 – 타과 과목 국어국문학과 전공 인정 과목: 연계전공 고전문헌학 고전문헌번역연습1 (매년 2학기 개설)